군집공간 2008
Herd Space
2008.9.17-10.3
문예진흥기금 시각예술 부분 후원전시
공근혜 갤러리 Gallery Kong
서울시 종로구 팔판동 137번지
유기적 사유의 장소로서 그림: 군집 공간
이전 어떤 비평가가 자신의 책 제목으로 “식물성 사유”라고 쓴 것을 보았다. 책의 내용을 아직 읽어보지 못했지만, 아마도 자신이 본 한국화단의 기름기 없는 담백한 예술미를 지칭하거나 혹은 자신의 예술적 취향을 대변하는 듯 느껴진다. 그리고 이 식물성은 ‘동물성’을 상대개념으로 설정하고 있는 것 같은데, 저자는 공격적이고 화려하고 보다 감각적인 취향을 가진, 그것도 외국으로부터 밀려온 그런 예술사유를 대상으로 삼은 것 같다. 사실 우리의 전통에 익숙한 것이 바로 식물성이 아니었던가? 경제성장의 부산물로서 우리는 즐겨 삼겹살을 먹어대고 있지만, 보리밥에 된장이 항상 떠오르는 우리의 주식이었던 것처럼, 먹이나 화선지는 유화와 같은 외국수입재료에 비하여 청초하기까지 한 식물성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한국의 미감은 오래부터 줄기차게 이러한 식물성에 가까운 취미와 태도 그리고 그런 사유를 해온 것 같다. 최혜인의 그림을 처음 보았을 때 “식물성 사유”는 적절해 보일 것 같았다. 그런데 감상의 시간이 길어지자, 먼저의 견해가 얼마나 작가를 단편적으로 정의할 것인가에 대한 우려로 바뀌었다. 우선 작가는 식물성이라는 표면 속에 숨어있는 질긴 생명성과 그 숨을 지키려는 간절한 본성을 본다. 아름답다고 해야 할 작은 이미지들이 이합집산을 통해 구도를 형성한 화면 밑에는 억척스러운 생명력을 지켜가고 있다. 그래서 식물성 사유가 생각했던 것처럼 순하지 않다는 것을 작가의 그림을 통해 느낄 수 있다.
1.
작가 최혜인이 그리는 모티브 혹은 주제는 식물이다. 그러나 여느 작가들처럼 아름다운 꽃이나 수목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늘 밥상에 올라올 만한 먹거리이며, 흔해서 오히려 기억에서 열외 될 그런 것들이다. 일반적으로 선택되는 보다 의미 있는 식물, 예를 들면 사군자나 잘 알려진 화초들이 아니라, 콩나물과 버섯 혹은 씨앗이 그가 그리는 전부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어떤 모티브도 그 ‘필연적인’ 이유가 있는 법. 평범한 것에 대한 혹은 생활의 미시적 성찰을 통해 발견된 모티브는 그 의미를 평가하기 이전에 친밀성을 갖는다. 그 친밀함이 예술이란 통로를 통해 익숙하지 않은 존재성을 드러낼 때, 예술은 자신의 역할을 진정으로 수행한다고 본다. 최혜인은 바로 이러한 사유의 과정을 겪었다는 것을 모티브로 설명해 주고 있다. 그렇다고 친밀성에서 낯선 이질감으로의 단순한 전이로는 만족할 수 없다. 작가는 반전의 역학을 보여주기보다는 오히려 친밀성을 서사적 구조 속에서 조금씩 변화시키면서, 자신의 사유를 짜 나아간다. 그 변화는 그려진 상태에 비추어 본다면, 그다지 파격적이지는 않지만, 그 변화의 성격은 사뭇 폭력적이라고 말할 수도 있다.
화면은 얇은 색의 층과 붓질이 이루어낸 배경 속에서 모티브인 콩나물이나 버섯이 군집된 형상을 만들어내는 것에 지나지 않아 보인다. 과슈나 분채를 사용한 듯해 보이는 색칠은 눈을 거스르지 않지만, 존재를 숨기지도 않는다. 그래서 때론 그려진 형상보다는 배경의 색 면과 그것이 만들어내는 시각적 율동이 더 큰 울림을 줄 수도 있겠다. 또한 색채가 보유한 성격도 단순히 동양적인 정서만으로 설명하기 힘들어진다. 오방색이나 기름기를 뺀 차분한 먹색은 은은하지만, 그 속에는 젖을 것 같은 차분함 보다는 원초적인 에너지가 맥놀이를 하는 분주함이 느껴진다. 이런 감응을 얻어내기 위해 작가는 다양한 방법을 실천했었다. 한지 위에 염색을 한다든지, 끓인 식물성 염료가 종이 위에 스며들게 했으며, 때론 아교 칠로서 약간의 얼룩 등의 효과를 만들어 내기도 했다. 아크릴과 같은 인공적인 색채 외에도 백토나 흙의 자연적인 재료를 실험해 본 흔적도 여러 곳에서 찾아진다. 물론 재료에 대한 실험은 다른 작가들에게서도 흔히 볼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시선을 자극하고 보다 큰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의도가 아니라, 작품의 의미와 내용에 상응하는 채색과 질감을 찾으려는 조용한 노력이었다는 점에서 그의 성실성을 읽을 수 있다.
2.
약간 성급한 해석자인 필자는 여기서 작가가 삶을 은유하는 방법으로 이러한 형상을 이룩하지 않았냐고 결론을 내리고 싶다. 실제로 그의 발언 속에는 자신과 가족이라는 최소 단위의 사회와 그 알콩 달콩한 삶의 드라마가 묻어 난다. 하지만 이미지가 말하는 것들은 그렇게 소급되어지는 것보다는 오히려 그림 자체가 생성의 힘을 가지고 화면 위에 자신의 삶을 유기적으로 펼쳐지는 것에 더 집중되어 있다는 점이다. 모티브의 선택에서도 그리고 그 연출에 있어서도 삶의 상징성과의 연관은 느슨한 편이다. 식물의 이미지를 통한 상징 효과는 - 그러나 지시적 성격이 강하게 도출되지는 않는다 - 언술적인 것보다 오히려 조형적인 차원에서 고려되었고, 이것은 작가가 상상하는 생태계를 직언하는 방식으로 펼쳐진다.
작가가 이번에 선보이는 모든 그림은 하나 같이 군집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군락을 이루는 삶의 힘은 그런 집합에서 이루어지며, 이 집합들이 화면의 구도를 형성한다. 과거 작가는 개별적 존재성에 중점을 두었고, 이것은 주체와 타자가 대치되는 양상처럼 보였다. 이제 그림은 작가 자신을 둘러싼 사회를 은유하며, 보다 중성적이고 비파당적인 의미구조를 형성한다. 중성적이라 함은 작가가 이제 어떤 특정한 입장을 대변하는 것이 아니라, 무관한 제3자의 입장을 취하면서 보는 세상 혹은 그 식물들의 세계를 말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미지는 가치 판단을 보류하고, 거의 일관된 관찰과 사유를 통해 얻어진 현상을 고스란히 설명해 주는 것에 주력한다. 하지만 필자에게 비쳐진 형상은 이렇게 말한다. 개체성이 아니라 군락을 이루는 이 식물들은 그래서 삶 자체가 개별적인 아니라 엮여져 함께 자라고 소멸되는 공동 운명체이며, 이것이 드러내는 삶의 힘은 - 비록 미시적인 모습이지만 - 가슴이 아프도록 치열하다고.
3.
작가의 이번 전시는 스스로 고백한 것처럼, 작업의 ‘중간 점검’ 정도일 수 있다. 물론 작업의 향방은 더 진전하겠지만, 그리고 말하지 않더라도 더 좋은 평가를 얻어내고 싶겠지만, 그가 추구한 방향은 그가 보여주는 것 이상으로 관념적일 수 있다. 이 관념성을 순수하게 지켜내는 것 또한 무척이나 어렵고 수고스러운 일이다. 예술의 궤적이란 정말로 불확실성 속에서 진행된다. 그렇기에 과학과는 다른 관심과 사랑을 받지 않았을까? 예술은 결과로 평가받는 것보다는 오히려 그 시작과 과정에서 가치를 얻어야 한다. 작품이란 예술가의 발상과 노동의 걸러진 결과만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서문의 제목이 암시하는 것은 바로 작가가 행하는 작업과 사유의 방식이다. 유기적이라 함은 그것이 궁극적인 목적성을 가지고 꾸준히 진행된다는 뜻이고 여러 조건들 속에서 항상 더 긍정적인 선택을 한다는 것이지, 일시적인 성공과 완성에 안주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작가는 어려운 길을 스스로 선택했다. 아마도 영민한 사람이었다면, 좀 더 스펙터클하거나 드라마틱한 주제를 선택했을 것이며, 간단하게 주위의 이목을 끌었을 것이다. 그러나 작가는 무던하게 자신이 고집한 것에 천착하고 있다. 그리고 천천히 아주 무거운 과제를 옮겨나가고 있다. 나는 이것을 미덕이라고 생각한다. 예술가가 가질만한 가장 절대적이자 가장 최소한의 양심과 같은 것을 의미한다.
김정락 (미술사학)
Drawing as a Site of Organic Thinking: Collective Space
I saw a critic write "Vegetative thinking" as the title of his book. I haven't read the book yet, but it seems like he's referring to the greaseless, light artistry of Korean painting that he's seen, or maybe he's referring to his own artistic taste. And it seems like he's setting up the "animal" as the opposite of the "vegetable," and he's targeting the aggressive, colorful, more sensual taste of artistic thought, which has come from foreign countries. As a byproduct of economic growth, we enjoy eating pork belly, but just as miso paste on barley rice has always been our staple food, ink and hanji have a cleaner, vegetal flavor compared to foreign imports such as oil paintings. Therefore, it seems that Korean aesthetics have long been characterized by hobbies, attitudes, and thoughts that are close to this vegetal nature. When I first saw Choi's paintings, "vegetal thinking" seemed appropriate. However, as the viewing time became longer, my initial view changed to a concern about how much it would define the artist in a fragmentary way. First of all, the artist sees the toughness of life lurking beneath the surface of vegetation and its desperate nature to hold on to its breath. Underneath the screen, where small images that should be beautiful have formed a composition through the sum of their parts, there is an oppressive life force. Therefore, we can feel through the artist's paintings that vegetable thought is not as gentle as we thought.
1.
The motif or theme of Choi's paintings is plants, but she does not paint beautiful flowers or trees like other artists, but rather food that is always on the table and is so common that it will be excluded from memory. Sprouts, mushrooms, or seeds are all he draws, not the more meaningful plants that are usually chosen, such as the dead or well-known ones. But every motif has its own 'inevitable' reason. Motifs found in the mundane or through micro-reflections on life have an intimacy before their meaning can be assessed. When that intimacy reveals an unfamiliar presence through the medium of art, art truly fulfills its role. Choi's motifs illustrate that she has gone through this process of thinking. However, a simple transition from intimacy to strangeness is not enough. Rather than showing the dynamics of reversal, the artist weaves her thoughts while gradually changing the intimacy within the narrative structure. The change is not so radical in the light of the painted state, but it can be said that the nature of the change is rather violent.
The screen appears to be nothing more than a background of thin layers of color and brushstrokes that create clusters of sprouts or mushrooms, the motif. The coloring, which appears to be done with gouache or powdered paint, is not obtrusive, but it doesn't hide its presence either. So sometimes the color aspect of the background and the visual rhythm it creates can be more resonant than the figures drawn. The character of the colors also becomes harder to explain in terms of mere orientalism. There is a calm ink color that is subtle, but there is a bustle of primal energy pulsing through it, rather than a damp calm. To achieve this effect, the artist practiced various methods. He dyed the paper, allowed boiled vegetable dyes to soak into the paper, and sometimes used glue to create the effect of slight stains. In addition to artificial colors such as acrylics, there are also traces of experimentation with natural materials such as white clay and earth. Of course, experimentation with materials is common among other artists. However, his sincerity can be seen in the fact that it was not done with the intention of stimulating the eye and arousing greater curiosity, but rather a quiet effort to find colors and textures that corresponded to the meaning and content of the work.
2.
A somewhat hasty interpreter, I am tempted to conclude here that the artist achieved these figures as a way of metaphorizing life; indeed, in her words, the drama of the smallest unit of society - himself and her family - and its trivialities. However, what the image is saying is that it is not so much retrospective as it is focused on the organic unfolding of her life on the screen with the generative power of the painting itself. The connection to the symbolism of life is loose, both in the choice of motifs and in their execution. The symbolic effect of the botanical imagery - which is not strongly directed - is considered on a more sculptural than descriptive level, and it unfolds in a way that speaks directly to the ecosystem the artist imagines.
All of the paintings that the artist presents in this series have the shape of a cluster. The power of life in a community comes from such groups, and these groups form the composition of the picture. In the past, the artist focused on individual existence, which seemed to be a confrontation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 Now, the painting is a metaphor for the society that surrounds the artist, forming a more neutral and non-partisan structure of meaning. By neutral, I mean that the artist is no longer representing any particular position, but rather the world or the world of plants as he sees it, taking the position of a disinterested third party. The image, therefore, withholds value judgments and focuses on describing the phenomenon as it was obtained through almost consistent observation and thought. But to me, the reflected form says this. These plants are not individuals, but colonies, and so life itself is not individual but interwoven, growing and dying together, and the power of life they reveal is - though microscopic - heartbreakingly fierce.
3.
This exhibition may be, as the artist herself confesses, a "mid-course correction" of her work. Of course, the direction of her work will be more advanced, and she would like to get a better evaluation even if she doesn't say so, but the direction she pursued may be more conceptual than what she shows. It's also very difficult and laborious to keep it pure. The trajectory of art is truly one of uncertainty. Maybe that's why it doesn't get the same attention and love as science. Art should not be judged by its outcome, but rather by its beginning and process. A work of art is only the filtered result of the artist's ideas and labor.
It is the artist's way of working and thinking that is implied by the title of the preface. Organic means that it is a steady progression with an ultimate purpose, always making more positive choices under different conditions, but it does not mean settling for temporary success and completion. The artist chose the hard way. Perhaps a smarter person would have chosen a more spectacular or dramatic subject matter and simply drawn attention to themselves. But the artist stuck to her guns. And slowly, she's taking on a very heavy task. I consider this a virtue. It means something like the most absolute and minimal conscience an artist can have.
Kim Jung-rak (Art History)